728x90
반응형

후회없는 결정을 하기위해 집어든 책!

 

어쩌면 4차 산업혁명 시대인 지금에 딱 걸맞는 책인 것 같은 생각도 든다.

 

롤프 도벨리의 스마트한 선택들에 관한 얘기이다.

 


손 하나 까딱 안하고 실적을 올리는 방법 이 있을까?

아래의 예를 보면 이해할 수 있을것이다.

 

텔레비전 채널 A 의 시청률은 높고, 채널 B 의 시청률은 낮다. 회사에서는 당신에게 이 두 채널의 시청률을 높이라고 요구한다.

 

만약 높이지 못한다면 해고의 위기가 발생하고, 높인다면 엄청난 금전적 보상을 받게 될 것이다.

 

기간은 6개월 , 당신은 어떻게 할 것인가?

 

 

 (채널 A의 평균 시청률은 40% 채널 B의 평균 시청률은 15%)

 

 

답은 간단하다. 채널 A 의 평균 시청률에는 못 미치지만 채널 B 보다는 높은 시청률의 채널 A의 프로그램 하나를 채널 B로 옮기는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A의 평균시청률을 하락시키고 있던 프로그램이 B로 옮겨지는 것이기 때문에 채널 A의 평균 시청률은 소폭 증가할 것이고

 

B의 시청률도 새롭게 편성된 A의 프로그램으로 인해 시청률이 올라가게 될 것이다.

 

프로그램의 편성만 바꿨을 뿐이다. 새로 편성하거나 , 기존 프로그램을 삭제하지도  않았다.

 

(채널 A의 평균 시청률은 45% 로 5%증가, 채널 B의 시청률은 20%로 5% 증가)

 

 

간단한 무대의 이동 만으로 평균 수익률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런 효과를 미국 오클라호마 출신의 코미디언 윌 로저스의 이름을 따서 윌 로저스 현상(Will Rogers Phenomenon)” 또는 무대의 이동이라고 부른다.

 

이 개념은 윌 로저스가 오클라호마를 떠나 캘리포니아로 이주한 사람들 덕분에 오클라호마와 캘리포니아 양쪽 주에 사는 주민들의 평균 지능지수가 상승했다라는 농담을 한 것에서 생겨났다.

 

 

 

어떻게 보면 조삼모사일 수도 있는 기발한 현상은 이미 우리가 무의식중에 사용하고 있을지 모른다.

 

테스팅 예를 들어보면 '프로그램 테스팅을 1,2,3차수를 모두 할 것인가' 아니면 '사전 테스팅 진행 후 1,2차 테스팅을 진행할 것인가' 의 차이이다.

 

결국엔 두 테스팅 모두 3번의 테스팅을 진행해야 하지만 사전 테스팅을 진행함으로써 제품 전반적인 이슈에 대해 파악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지도 모른다는 내 개인적인 생각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브룩스의 법칙(Brooks'law)는 "지체되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 인력을 더

 

하는 것은 개발늦출 뿐이다" 라고 주장한 법칙이다.

 

그리고 브룩스는 "임산부가 아무리 많아도, 아이를 낳는 데에는 9개월이 걸린다" 라고 자신의 

 

주장을 표현하기도했다.

 

 

 

이 브룩스 법칙이 자주 인용되지만 

 

그의 저서 <맨먼스 미신>에 이 주장 위에 써있던 "극도로 단순화 해서 말하면" 이란 구문이 생

 

략되어 본뜻이 왜곡되어 전해지기도 한다.

 

-브룩스 법칙의 오해-

 

뛰어난 프로그래머와 일반적인 프로그래머 개인의 능력이 차이가 많이나기 때문에

 

매우 뛰어난 소수의 프로그래머를 이용하는것이 평범한 프로그래머를 고용하는 것 보다 생산성

 

이 높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이론일 뿐이고 극소수 프로그래머만을 프로젝트에 투입하더라도 다양한 변수와 

 

환경적 조건이 적용 되어지기때문에 개발을 빨리 끝낼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인 해결책-

 

 

문제 전체를 소규모의 그룹이 맡을 수 있는 조각으로 나누고 , 상급 팀이 시스템 통합을 맡는 것

 

즉 , 트리 구조형식을 생각하면 될 것 같다.

 

하지만 이 또한 그룹 분배를 잘못하게된다면, 팀간의 의사소통비용이 더욱 늘어나게 되는 단점

 

 

 

테스트에서도 브룩스의 법칙이 적용될까?

 

100% 는 없다고 생각한다. case by case

 

예를들어 검증환경은 많지만 인원이 적은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의 웹앱을 5개의 환경에서 검증한다고 할 때, 우수한 테스트 엔지니어 1명이 5개의 환경을 

 

모두 검증하는 시간과 5개의 환경을 파트를 나누어 평범한 테스트 엔지니어가 테스트를 하고 

 

우수한 테스트 엔지니어는 테스트 총괄담당하여 작업하는 시간을 비교한다면 그 무엇이 더 낫

 

다 를 판단할 수 가 없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테스트도 여러가지 skill 이필요하고, IT 산업의 다양해짐에 따라 

 

여러 분야를 테스트 해본 경력자가 확실히 프로젝트를 주도해 나아갈 수 있다.

 

실무를 하다보면 인원 추가가 필요한 시기가 있다. 인원 추가 시기에 어떤 인력을 투입하고 편

 

성하는 것은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량이라고 생각 되지만 인력 투입 후의 팀워크도 생각해 볼 필

 

요가 있다.

 

 

*피드백 환영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