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기본문법
◎숫자
기본적인 자료형
연산자 |
설명 |
+ |
덧셈 연산자 |
- |
뺄셈 연산자 |
* |
곱셈 연산자 |
/ |
나눗셈 연산자 |
%는 나머지 연산자이다.
◎문자열
-문자의 집합
-문자열 생성시 큰 따옴표나 작은 따옴표를 사용한다.
-이스케이프 문자
따옴표를 문자 그대로 사용가능
문자열 줄 바꿈 할 경우 사용가능
(ex console.log("동해물과 백두산이 \n 마르고 닳도록")
이렇게 줄바꿈이 되어서 출력 됩니다.
이스케이프 문자 |
설명 |
\t |
수평 탭 |
\n |
줄바꿈 |
\' |
작은따옴표 |
\" |
큰 따옴표 |
\\ |
역슬래시 |
◎문자열 합하기
+ 연산자는 문자열 연결 연산자이다.
결과는>>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애국가 >> 이다.
◎문자 선택 연산자
-문자열[숫자] 이다.
console.log("안녕하세요"[0]); 이라고 쓰고 실행시키면 어떤결과가 나오게 될까??
안녕하세요의 문자열 중 0번째 문자열을 선택하는 것 이므로
"안" 이라는 결과가 실행된다.
◎참과 거짓의 표현
-true 와 false
연산자 |
설명 |
== |
같다. |
!= |
다르다. |
> |
왼쪽이 더 크다. |
< |
오른쪽이 더 크다. |
>= |
왼쪽이 크거나 같다. |
<= |
오른쪽이 크거나 같다. |
◎논리 연산자
연산자 |
설명 |
! |
논리 부정 연산자 |
|| |
논리합 연산자 |
&& |
논리곱 연산자 |
논리 연산자가 많이 사용되는 부분은 '범위 판단' 이다.
◎변수
-값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 식별자로 변수 선언 후 변수 에 값을 할당한다.
변수 선언
=> let 식별자;
연산자 |
설명 |
변수++ |
기존 변수 값에 1을 더한다.(후위) |
++변수 |
(전위)기존 변수 값에 1을 더한다. |
변수-- |
기존 변수 값에 1을 뺀다.(후위) |
--변수 |
(전위)기존 변수 값에 1을 뺀다. |
◎undefined 자료형.
- 말그대로 정의가 되어있지않는 자료형, 변수를 선언했으나 초기화 하지 않았을때 결과로 undefined가 나온다.
'JAVA로 단단해지기 > 자바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로 구구단 코딩하기 (1) | 2017.07.27 |
---|---|
HelloWorld 를 띄워보자! (0) | 2017.07.27 |
자바 스크립트란 무엇인가? (0) | 2017.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