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룩스의 법칙(Brooks'law)는 "지체되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 인력을 더
하는 것은 개발을늦출 뿐이다" 라고 주장한 법칙이다.
그리고 브룩스는 "임산부가 아무리 많아도, 아이를 낳는 데에는 9개월이 걸린다" 라고 자신의
주장을 표현하기도했다.
이 브룩스 법칙이 자주 인용되지만
그의 저서 <맨먼스 미신>에 이 주장 위에 써있던 "극도로 단순화 해서 말하면" 이란 구문이 생
략되어 본뜻이 왜곡되어 전해지기도 한다.
-브룩스 법칙의 오해-
뛰어난 프로그래머와 일반적인 프로그래머 개인의 능력이 차이가 많이나기 때문에
매우 뛰어난 소수의 프로그래머를 이용하는것이 평범한 프로그래머를 고용하는 것 보다 생산성
이 높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이론일 뿐이고 극소수 프로그래머만을 프로젝트에 투입하더라도 다양한 변수와
환경적 조건이 적용 되어지기때문에 개발을 빨리 끝낼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인 해결책-
문제 전체를 소규모의 그룹이 맡을 수 있는 조각으로 나누고 , 상급 팀이 시스템 통합을 맡는 것
즉 , 트리 구조형식을 생각하면 될 것 같다.
하지만 이 또한 그룹 분배를 잘못하게된다면, 팀간의 의사소통비용이 더욱 늘어나게 되는 단점
테스트에서도 브룩스의 법칙이 적용될까?
100% 는 없다고 생각한다. case by case
예를들어 검증환경은 많지만 인원이 적은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의 웹앱을 5개의 환경에서 검증한다고 할 때, 우수한 테스트 엔지니어 1명이 5개의 환경을
모두 검증하는 시간과 5개의 환경을 파트를 나누어 평범한 테스트 엔지니어가 테스트를 하고
우수한 테스트 엔지니어는 테스트 총괄담당하여 작업하는 시간을 비교한다면 그 무엇이 더 낫
다 를 판단할 수 가 없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테스트도 여러가지 skill 이필요하고, IT 산업의 다양해짐에 따라
여러 분야를 테스트 해본 경력자가 확실히 프로젝트를 주도해 나아갈 수 있다.
실무를 하다보면 인원 추가가 필요한 시기가 있다. 인원 추가 시기에 어떤 인력을 투입하고 편
성하는 것은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량이라고 생각 되지만 인력 투입 후의 팀워크도 생각해 볼 필
요가 있다.
*피드백 환영합니다*
'QA로 단단해지기 > QA 와 테스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스팅의 필요성과 품질에 관한 이야기 (0) | 2018.07.20 |
---|---|
버그 수정 비용의 증가에 관한 이야기 (0) | 2018.07.19 |
테스팅 오류와 용어에 관한 이야기 (0) | 2018.07.18 |
테스팅의 일반적인 원리 (0) | 2018.07.18 |
SDLC에 관한 기본적인 이야기 (0) | 2018.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