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팅의 일반적인 원리>>
1. 테스팅은 결함이 존재함을 밝히는 활동이다.
– 결함이 없다는 것은 증명할 수 없다.
2. 완벽한 테스팅(Exhaustive) 은 불가능 하다.
– 무한 경로, 무한 입력 값, 무한 타이핑, 리스크 분석과 결정된 우선 순위에 대한 테스팅을 집중
3. 테스팅을 개발 초기에 시작한다.
– 개발 시작과 동시에 테스트를 계획, 전략적으로 접근, Test case 를 도출하면서 문서상의 결함 발견
4. 결함 집중(Defect Clustering)
– 적은 수의 모듈에서 대다수의 결함 발견 ( 결함과 장애가 집중)
5. 살충제 패러독스(Pesticide Paradox) – 동일한 테스트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버그를 찾기 힘듦, 경험 기반 기법을 통해 테스트 방법을 다양화
– 해당 기법을 다른 모듈 또는 시각에서 재적용시켜 테스트 케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노력
– 탐색적 테스팅(Exploratory testing), JIT 테스팅(Just-in-time-testing)등의 경험 기반 접근법을 통해 새로운 테스트 케이스를 추가하는 것이 필요
6. 테스팅은 정황(Context)에 의존적이다. (일의 사정과 상황)
– 효율적, 효과적 테스트 팀 조직, 독립적 테스트 환경
7. 오류 – 부재의 궤변 (Absence – of – errors fallacy)
– 사용자 요구사항에 맞지 않는다면 결함을 찾고 수정하는 것은 무의미, 결함을 모두 발견했다고 해도 품질이 높다고 할 수 없다.
*피드백 환영입니다*
'QA로 단단해지기 > QA 와 테스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스팅의 필요성과 품질에 관한 이야기 (0) | 2018.07.20 |
---|---|
버그 수정 비용의 증가에 관한 이야기 (0) | 2018.07.19 |
테스팅 오류와 용어에 관한 이야기 (0) | 2018.07.18 |
소프트웨어 테스트에서도 브룩스의 법칙은 적용될까? (2) | 2018.07.04 |
SDLC에 관한 기본적인 이야기 (0) | 2018.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