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브룩스의 법칙(Brooks'law)는 "지체되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 인력을 더

 

하는 것은 개발늦출 뿐이다" 라고 주장한 법칙이다.

 

그리고 브룩스는 "임산부가 아무리 많아도, 아이를 낳는 데에는 9개월이 걸린다" 라고 자신의 

 

주장을 표현하기도했다.

 

 

 

이 브룩스 법칙이 자주 인용되지만 

 

그의 저서 <맨먼스 미신>에 이 주장 위에 써있던 "극도로 단순화 해서 말하면" 이란 구문이 생

 

략되어 본뜻이 왜곡되어 전해지기도 한다.

 

-브룩스 법칙의 오해-

 

뛰어난 프로그래머와 일반적인 프로그래머 개인의 능력이 차이가 많이나기 때문에

 

매우 뛰어난 소수의 프로그래머를 이용하는것이 평범한 프로그래머를 고용하는 것 보다 생산성

 

이 높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이론일 뿐이고 극소수 프로그래머만을 프로젝트에 투입하더라도 다양한 변수와 

 

환경적 조건이 적용 되어지기때문에 개발을 빨리 끝낼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인 해결책-

 

 

문제 전체를 소규모의 그룹이 맡을 수 있는 조각으로 나누고 , 상급 팀이 시스템 통합을 맡는 것

 

즉 , 트리 구조형식을 생각하면 될 것 같다.

 

하지만 이 또한 그룹 분배를 잘못하게된다면, 팀간의 의사소통비용이 더욱 늘어나게 되는 단점

 

 

 

테스트에서도 브룩스의 법칙이 적용될까?

 

100% 는 없다고 생각한다. case by case

 

예를들어 검증환경은 많지만 인원이 적은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의 웹앱을 5개의 환경에서 검증한다고 할 때, 우수한 테스트 엔지니어 1명이 5개의 환경을 

 

모두 검증하는 시간과 5개의 환경을 파트를 나누어 평범한 테스트 엔지니어가 테스트를 하고 

 

우수한 테스트 엔지니어는 테스트 총괄담당하여 작업하는 시간을 비교한다면 그 무엇이 더 낫

 

다 를 판단할 수 가 없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테스트도 여러가지 skill 이필요하고, IT 산업의 다양해짐에 따라 

 

여러 분야를 테스트 해본 경력자가 확실히 프로젝트를 주도해 나아갈 수 있다.

 

실무를 하다보면 인원 추가가 필요한 시기가 있다. 인원 추가 시기에 어떤 인력을 투입하고 편

 

성하는 것은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량이라고 생각 되지만 인력 투입 후의 팀워크도 생각해 볼 필

 

요가 있다.

 

 

*피드백 환영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SDLC(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시스템 엔지니니어링, 정보 시스템 또는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정보 시스템을 계획, 개발 , 시험, 채용 하는 과정을 뜻하는 용어"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 주기는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 까지 넓은 범위에 적용 가능

 

 

 

대게 요구사항 분석 -> 설계 -> 개발 -> 테스트 -> 운영(유지보수)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테스트 엔지니어는 테스트를 최종적으로 결함이 없는 제품이 나와야 좋겠지만

 

 

 

 

 

 

"이 과정에서 SDLC 에 관한 각각의 파트들을 이해하고 있다면 실 업무에서 훨씬 더 유용하게 테스팅을 진행할 수 있다."

 

 

 

 

 

 

*피드백 환영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V O C (voice of customer)

 

 

 

 

 

voice of customer이라는 말 그대로 고객의 소리를 뜻 한다.

 

 

보통 서비스관련 회사에서 상담센터를 통하여 고객 불만 사항 등 다양한 이슈가 발생하는 경우

 

회사 내부에서 사용하는 고객관리시스템 용어이다.

 

 

voc에 대한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관리 시스템 콜센터에 접수되는 고객불만사항을 접수부터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처리상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처리결과를 관서별로 지표화하여 관리·평가함으로써 고객의 체감서비스를 

 

향상시키는 고객관리시스템"

 

 

 

하지만 단순 콜센터에서만 voc 가 적용되는 것일까?

 

난 IT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적용된다고 본다.

 

 

 

4차산업혁명 시대에 있어 빠르게 유입되는 기술과 정보로 고객들은 더 좋은 서비스를 요구한다.

 

 

기업은 고객들에게 단편적인 불만에만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회사 내부의 전반적인 고객응대 데이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객의 잠재적인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Sense & Response 체제로 진화해야할 필요성이 생긴다.

 

 

이는 기업 서비스의 평판 관리 뿐 아니라 신제품 개발에도 스마트한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추가적으로 제 생각은 VOC 관점에서 수행하는 테스트는 기존 테스트 보다 고객사와 고객들에게 더욱 신뢰를 

줄 것이라 생각된다. Big Data분석을 통해 고객들이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Data를 추출하여 테스트를 진행하게 된다면

기업은 고객만족도가 상당히 높은 상품을 시장에 내놓을 수 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 테스트를 할 때, "개발자의 입장" , "고객의 입장" 에서 테스트를 하며 

 

개발자와 고객의 "gap" 을 줄여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피드백 환영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QA는 무엇이고 , QC는 무엇일까? 

 

오늘은 미묘하게 다른 QA, QC 에대해 몇글자 적어보려고 한다.

 

 

 

QA는 Quality Assurance로 품질 보증을 말하고, 품질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고 고객에게 신뢰감을 주기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정한 효율과 품질이 보장되어야 하는 활동 또는 제품에 대하여 보증을 부여하기 위하여 필요한 증거를 제공하는 것을 이른다.  

QC는 Quality Control 로 품질 관리를 말한다. 기업이 생산과 관련된 모든 요소의 품질을 검토하는 프로세스를 말한다.

 

품질관리(QC)는 품질 보증 프로세스 내에서 품질 평가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관찰하는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결함 발견을 위한 활동이므로 테스팅(Testing), 리뷰(Review), 검사(Inspection)를 수행한다.

 

즉, QA 는 좀 더 고객에 중점을 두고 있고, 그에 비해 QC는 제품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품질보증(QA)은 고품질(High-Quality)을 위해 품질관리(QC)보다 넓은 활동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4차산업혁명 시대에 품질 보증(QA)은 IT 분야에서 더욱 더 다양하게 수행되어진다. 

 

실제  IT 업계의 대다수 기업에서는 소프트웨어의 결함을 예방하기 위해 품질 보증 프로세스를 확립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피드백 환영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충북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에 아무것도 모른채로 입학해서 


12년부터~17년까지 오랜시간이 지나고 


개발은 적성에 안맞다는 것을 참으로 일찍(?) 깨우쳤다.


공모전 , 팀프로젝트시 테스팅이나 기획 부분에 흥미를 느꼈었다. 


그래서 QA쪽으로 진로를 바꾸고 새로운 시작을 해보려고한다.


적응되면 개발도 중간중간 공부하고 ISTQB 같은 자격증도 도전해보려고 한다.


더욱 단단해져야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제 자취방도 빼고 본가로 올라왔으니


제대로 공부좀해야겠어...


Java랑 웹쪽 공부하면서 실력좀 키우고 경쟁에 뛰어들어야겠어!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오늘 은 무거운 it 주제가 아닌 가볍게  해보려고 합니다.

 

요즘 취미삼아 친구들과 배틀필드 1 을 하고 있습니다.

 

 

배틀필드1 은 2016년 10월 21에 EA 에서 발매한 1인칭 슈팅게임으로

 

제 1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프랑스~ 아라비아사막~ 최근에는 러시아 신맵까지

 

세계 각지에서 1914년도의 격전을 체험할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엠블럼을 커스터마이징해서 나만의 엠블럼을 쓸 수 있는데요

 

저는 제 군생활을 3사단에서 했고 이 게임도 군대가 나오는 전쟁게임이므로

 

한번만들어 보았습니다.

 

비록 저퀄리티지만 쓰실분은 아래 링크로 들어가셔서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https://emblem.battlefield.com/Jnq24q9khG <<<<<<<<<<<링크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의도치않게 학점이 비어서... 대학교 1학년때 기말고사 시험시간을 헷갈려서 결국 시험을 못보고 D를 맞은소도구 

 

강의를 위해서 VMware와 Cent OS 7version 을 다시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일단 VM ware 부터  설치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my.vmware.com/en/web/vmware/free#desktop_end_user_computing/vmware_workstation_player/12_0

 

에 접속을 합니다.

 

For windows 64-bit 를 다운 받습니다.

 

컴퓨터 사양과 목적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저는 64bit 이므로 !

 

Next 클릭

 

라이센스에 동의 해 주시고 Next 를 클릭해줍니다.

 

Next 를 눌러줍니다.

 

두 체크리스트는 워크 스테이션 12 플레이어의 기능향상 정도라고 보시면 되겠네요

 

Next~~

 

 

이제 Install 을 눌러 줍니다.

 

 

 

설치가 완료되고 Finish 를 누르게 되면 12Player 창이 화면에 나오게 됩니다.

 

 

 

license key 가 있다면 써주시고

 

없다면 이메일을 적고 컨티뉴를 눌러줍니다.

 

그러면 위와 같은 창이 나옵니다.

 

이제 Cent OS를 설치해 보겠습니다.

 

Create a New Virtual Machine 을 클릭합니다.

 

그 전에 Cent OS7 iso 파일이 있어야 겠지요>???

 

https://www.centos.org/download/

에 들어갑니다!!

 

DVD iso 에 들어가서 한국 서버로 된 ISO 를 다운받습니다.

 

 

 

다시 전으로 돌아가서~~

 

 

 

file(iso)의 경로를 지정해줍니다.

 

 

Full name 과 User name을 지정해주시고

 

패스워드를 지정해줍니다.

 

기본적으로 교과목 실습용이므로 기존에 있는 사양을 쓰도록 하겠습니다.

 

20GB로 설치를 합니다.

 

Finish 를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설치되는것이 보이면

 

기다려줍니다.

 

설치가 다되면 LICENSING를 클릭해서

 

라이센스 승인을 해주고 

 

FINISH CONFIGURATION 을 클릭합니다.

 

 

아까 설정했던 비밀 번호를 입력한 후에

 

Sign In 을 눌러줍니다.

 

언어설정과 키보드 설정등의 설정을 해주시고

 

필요없는 설정은 건너뛰기를 해줍니다.(각자 알아서...)

 

 

위와같은 화면이 화면에 나오면

 

Cent OS7 가 설치가 완료 된 것 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유닉스/리눅스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