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두 번째 에피소드입니다.

오늘은 명세 기반 작성법으로 TestCase를 작성한 후에

TestCase를 보완하는 CheckList를 작성하는 이유와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포스팅해보겠습니다.

 

가기 전에 두 가지 Keypoint를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입력 값에 대한 예상 출력 값을 정해놓고 그대로 결과를 나오는지 확인한다.
테스트 혹은 평가해야 할 항목을 정리하고 누락 없이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얼핏 보면 같은 내용 아닌가요?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만

 

포커스를 어디에 맞추느냐 생각해보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첫 번째 키 포인트는 예상 출력 값에 포커스를 맞췄습니다.

 

즉, 기대 결과를 중심으로 작성한 TestCase입니다.

 

두 번째 키 포인트는 항목에 포커스를 맞췄습니다.

 

경험이나 TestCase를 보완할 테스트 항목에 대해 작성한 CheckList입니다.

 

각각 차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아래 표를 준비해 보았습니다.

공통된 목적을 가지고 있으나 미세하게 다른 차이가 있습니다.

 

물론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제가 업무를 할 때는 위의 표처럼 구분지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간단하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여기 로그인 페이지에 대한 기획서가 있습니다.

Description 1번 로그인 항목에 대한 Test Case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 명세 기반의 TestCase 작성

명세서 기반으로 작성하였기 때문에 위의 TestCase 에는 Test Step 동작 후 로그인 처리 동작에만 포커스를 맞췄습니다.

 

물론 로그인이 동작하면 Pass 처리가 되겠지만

 

우리는 그동안의 업무 경험으로 인해 우리는 추가로 보완해야 할 항목이 무엇인지 알고 있습니다.

 

회원에 대해 분류를 해야 하는데요.

 

이는 어떠한 사이트를 가도 공통된 항목이 있을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비밀번호가 만료된 계정 또는 일정 기간 동안 접속하지 않아 휴면 처리된 계정 등 

 

해당 사이트를 접속하는 여러 회원에 대해서 테스트가 누락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CheckList를 추가적으로 작성합니다.

 

 

# 업무 경험 기반으로 CheckList 추가 작성

이런 식으로 회원별 CheckList를 추가로 작성하는 겁니다.

 

그렇게 된다면 TestCase로 1차적으로 로그인 기능에 대해 확인을 하고,

 

2차적으로는 회원을 분류하여 회원 타입별로 로그인 기능이 정상 동작을 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TC 다 썼는데 CheckList도 작성해야 돼요?"

 

라는 의문에 대한 답을 어떻게 내렸는지에 대해 다뤄봤는데요.

 

사람마다 생각하고 실무에 적용하는 것이 각자 다르겠지만

 

우리 QA 엔지니어의 목적은 하나입니다.

 

어떻게 품질을 상승시킬 수 있고, 효율적으로 문서들을 관리할 수 있는지에 대해 늘 고민해야 됩니다.

 

그럼 Episode 02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오늘은 제가 처음 QA 조직에 들어가게 되었을 때 기억을 더듬어 작성해보았습니다.

 

물론 MSG 조금은 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의 키워드는 : 먼저! 그리고 열정!입니다.
첫 번째 회사에 입사하고 낙동강 오리알 마냥 혼자 방치되어있던 적이 많았습니다.

물론 신규 입사자에 대한 프로세스가 시스템화 되어있는 대기업 같은 경우는 그럴 일 없겠지만요.

아무튼 첫 번째 회사에 입사했을 땐, 다들 설날 전에 업무를 마무리해야 한다고 바빴습니다.

아침에 가서 인사하고 9시부터 18시까지 앉아만 있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팀장님께 바쁜 일이 끝나면 저도 업무에 빠르게 적응하기 위해 업무 매뉴얼이 있냐고 물어봤는데

없다고 가만히 앉아있으라고 하더라고요. (이때, 바로 퇴사하지 않은 게 후회가 됩니다.)

아무튼 첫 번째 회사에서 제가 진행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먼저 말 걸기, 열정 보여주기"였습니다.

 

먼저 말 걸기, 열정 보여주기 같은 경우는 PASS로 갈 확률이 높지요.

그러나 말도 안 되는 중소기업들은 항상 우리 주변에 있으니 조심하자고요. ㅋㅋㅋ 

사실 회사에서 요구하는 것은 1인분 + α입니다.

누구에게나 일을 가르치면 100 명중 99명은 전공이 아니더라도 따라 할 수 있을 겁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건 가르쳐준 일만 하느냐, 자기 것을 만들어서 응용을 할 수 있느냐 문제입니다.

응용을 잘하는 대다수의 사람들은 먼저 말 걸기, 열정 보여주기의 커뮤니케이션을 적극 활용하고 있었습니다.

두 번째 회사의 경우에는 경력직으로 입사하였지만 3개월이라는 수습기간이 있었는데요.

저는 두 번째 회사에서도 항상 먼저 말 걸기, 열정 보여주기 커뮤니케이션을 적극 활용하였습니다.

사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한다는 것이 얼마나 두려운 일인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입장을 바꿔 생각해보면 입사자 말고 원래 있던 조직원들은 제가 새로운 환경이라고 느껴질 겁니다.

서로 새로운 환경을 맞이하게 되는 것이니 조직원들에게 무언갈 바라는 행위는 이기적인 모습이라고 느껴졌기

때문에 저는 어딜 가나 먼저 다가가기, 열정 보여주기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하였습니다.

 

아마 회사에 처음 들어가면 오전 티타임 아니면 점심 이후 데일리 미팅 시간에 팀원들 간 인사를 나누기 위해 한번 모이게 될 텐데요.

위의 gif처럼 잡아먹으려고 하지 않으니 다들 너무 걱정은 안 하셨으면 좋겠네요.

다 같이 모였을 때, 당찬 포부를 말하는 것도 좋겠지만 평범한 모습을 보여주는 게 저는 좋다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같은 회사 사람들은 가족 이외에 제일 많이 보게 될 테니 처음부터 색안경을 씌워주는 행위는 NO라고 생각되거든요~

그럼 Episode 01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직장인들 화이팅 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